'네비 & PDA'에 해당되는 글 4건

  1. 2009.01.18 PDA자동 동기화 막기
  2. 2007.11.14 아이나비 활용법 1
  3. 2006.04.20 주요 PDA PROGRAM
  4. 2006.04.13 바닥(badak)사용법

PDA자동 동기화 막기

2009. 1. 18. 08:25 from 네비 & PDA

WM5.0에서 일정시간마다 자동으로 동기화 되는것 막기


1. PDA> 시작> 프로그램 > ActiveSync 를 실행합니다.2. 메뉴> 서버 소스 추가 를 선택합니다.


3. 서버주소에 111 이라고 넣고 다음을 선택합니다.(가짜주소니까 아무것이나 넣으면 됩니다.)


4. 사용자 이름, 암호, 도메인 모두 111 이라고 기입하고 다음을 선택합니다.


5. 동기화할 데이터에 체크가 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해제를 하고 마침을 선택합니다.


6. 메뉴 > 예약을 선택합니다.


7. 많이 사용할 때와 적게 사용할 경우를 모두 "수동으로" 설정을 변경하고 OK를 선택합니다.


8. 이번에는 메뉴 > 옵션 으로 이동합니다.

9. Exchange Server 를 선택하고 삭제메뉴를 누르고 OK버튼을 누릅니다.


저같은 경우는 위와같이 설정해도 2-3번은 더 자동으로 동기화가 되던데요.

그 다음부터는 괜찮았구요.


이렇게 크래들에 올려놨을 경우 자동으로 동기화가 되는것을 막거나, 이유없이 SD나 기타 메모리카드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이유없이배터리가 따듯해 지면서 줄어든경우, 이유없이 전원버튼으로 PDA가 켜지지 않고 리셋을 해야만 켜지는 경우 에는

위처럼 한번해보세요..


PDA에 아무 프로그램도 설치하지 않고, 위와 같이 했는데도 전원버튼으로 PDA가 켜지지 않는다면 각 제조사별 AS센터를

방문해 보는게 좋습니다.

'네비 & P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나비 활용법  (1) 2007.11.14
주요 PDA PROGRAM  (0) 2006.04.20
바닥(badak)사용법  (0) 2006.04.13
Posted by bakgga :

아이나비 활용법

2007. 11. 14. 20:46 from 네비 & PDA

iNavi의 활용은 이렇게......

저는 아이나비스마트아이나비UZ 두개의 제품을 사용하는 개인택시를 하는 사람입니다..
물론 타회사의 네비를 외면하고 아이나비의 제품을 고집하는 이유도 다른 타맵에 비해 iNavi는 현실적이고 또한 방대한 자료때문이랄까요?
두개의 아이나비를 사용하면서 조금 아쉬운점도 있지만 다른기종에 비해 고객의 입장을 잘 반영한 제품이란 생각이 들기에 아이나비를 사용하는 많은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생각으로 팁중의팁이 되길 바라는맘으로 몇자 적어볼까합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실 저의 환경설정상태를 먼저 언급할께요(제가 8개월간 쓰면서 최적이라구 생각하는 설정이니 참고바래요ㅎㅎ)
1.메뉴는 나만의메뉴를 사용합니다..(명칭검색,전화번호부,주소검색,주변검색,지도화면설정,시스템,자주가는곳,경로탐색)
2.지도화면설정-①지도모드:회전모드
②레벨: 주행시11레벨, 교차로안내시:12레벨 속도별레벨:60km이하11레벨 나머지변경없음
3.경로탐색은 4개모두체크(이유는 탐색되는 길을 보면서 결정하려구요 강변도로로 안내하는지 아님 올림픽대로로 안내하는지 등등...)

고속도로: 고속도로나 강변도로 글구 올림픽대로나 내부순환도로처럼신호없고 가급적 직진위주의 큰도로를 찾아주는모드

추천도로: 아이나비에서 추천하는 도로

무료도로: 고속도로처럼 통행료가 부과되는 도로를 피하는 모드

단거리: 가장 최단거리로 안내하는모드
4.안전운행구간은 과속주의,신호주의,전용차로,신호/과속,사용자등록 이렇게만체크 스쿨존과 지하철공사안내는 헤제
5.시스템에서 현위치복귀시간은 5분(이유는 시간이 짧다보면 지도를보고 목적지설정이나 출발지설정을 하려하면 원래지도로 전환되는 이유로 일부러 느긋하게 설정하고 확인까지 할수있게 5분으로 설정했고 다시 원래지도로 복귀하려면 지도상의 왼쪽상단의 GPS를 눌러주면 바로 복귀되죠)
6.기능키는 등록지점관리를 설정해서 사용(조금후에 아주 활용도가 높은 등록지점관리에 대해 언급할께요)
7.키보드는 아이나비전용이 무척 편리하더군요
**글구 화면 오른쪽하단에 노란색박스있죠? 그걸 도로정보로 놓구다니면 편리하더군요(이유는 우리가 가끔 올림픽대로를 가다보면 iNavi는 노들길로 착각할때있죠? 아님 반대상황으로 착각하구 길안내를 할때가 있을꺼예요 예를 들자면 우회전하는 길도 없는데 우회전하라구 안내 나오는것등등이 바로 그이유죠..;; 바로그때 도로정보를 놓고다니면 지금 iNavi가 올림픽대로로 가는데 노들길로 착각하구 길안내를 하는구나 하면서 참고할수 있다는거죠..** 이부분은 팅크웨어에서 조금 손볼부분이 아닌가 생각드네요;;)
8.제가 아이나비를 쓰면서 젤루 맘에드는메뉴..등록지점관리죠..ㅎㅎ
저는 이 기능을 기능키에 넣고다니면서 제가 자주찾는곳 어디를 바쁘게 간다던가 아님 손님이 모르는길 어디를 급하게 가자할때 일일히 찍고가려면 바쁜시간에 빨리 명칭검색하기 힘드니 미리 등록지점을 설정해놓은 바로 등록지점관리화면을 띄어놓구 찾아서 클릭만하면 되니 무척 편하더군요 글구 또 화면에 그 지점들이 표시되니 편하구요.. 제가 UZ을 살때도 바로 그기능이 되는지를 용산에 가서 확인후 샀다는 후문이 ㅎㅎ
그럼 잠시
등록지점관리에 대해 말씀드릴께요 등록지점관리는 사용자정보에보시면 있읍니다 글구 등록지점관리는 일단 여러개의 폴더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편리한데 제경우를 잠시 소개하면 기본,호텔,지방POS,구-경-세(구청 경찰서 세무소를 한꺼번에 한폴더에),대학교,병원,시장,교통보조,삭제껀(이건 6.0버젼이후 없어진 교도소및 구치소를 비롯해서 발전소와군사시설을 한폴더에)이렇게 폴더를 다양하게 만들어놓으면 다음 업글시에 빽업시켜놓은 이 폴더만 iNaviData폴더에 붙여넣기하면 항상 사용할수있어서 편리하답니다 삭제껀(교도소,발전소,군사시설등..)이 필요하신 분은 나중에 말씀해주시면 다운받을수있게 자료올려드릴께요.. 삭제껀은 몇주에 걸쳐 정리해 놓은거라 무척 유용할꺼예요^^*
9.여러분들.. 가끔 명칭검색이나 다른검색시 지명이나 건물이 검색 안될때 있지않나요? 어떤분들보면 자료가 없다구 불만을 토로하시는분들 많이 보았는데 바로 그이유는 정확한 명칭을 몰라서 그러는거구요 그럴때를 대비해서 팅크웨어에서는 고급검색을 만들어놓았답니다.. 예를들어서 목동의 출입국관리사무소를 찾으면 분명 안나올껍니다 이유가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우리가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란 명칭을 정확하게 아는분이 몇분이나 될까요 그럴때 명칭검색시 "출입국"만 쓰고 고급검색을 눌러서 행정에 체크하구 서울특별시체크한뒤 검색해보세요 여러개나온답니다
제가 이기능을 몰라서 목동 출입국관리사무소를 가자는 두 손님을 포기했다는 아픔이..;; 고급검색하는법 아시겠죠?
일단 명칭검색해서 안나오면 바로 고급검색을 누르기전에 중요한단어 한단어만쓰고 고급검색해서 찾으시라는거죠..
10.가끔 아파트를 검색하려하면 하도 많이 검색되어서 어떤게 내가 찾고자하는 아파트인지를 헷깔릴때가 있지않나요?
그럴때 그쪽동사무소를 검색해서 위치보기한후 고급검색으로 그 아파트명을쓰고 반경에체크한후 2km정도로 하면 아파트가 몇개 안나오니 검색이 무척 편리할꺼라 믿어요..
11.가끔 골목길가려할때 일방통행인가 의심되는 구간있죠? 그때 화면축소나 화면확대를 다들 아실텐데요 화면을 클릭하고 +나 -를 눌러서 하는방법도 있지만 손가락으로 드레그하는 방법도 있는데 +나-를 누르는것과 드레그가 뭐가 틀리냐면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화면클릭후 +,-를 누를때 화면 왼쪽상단의 GPS를 보시면 진행중이 아닌 화면이 멈춰있을꺼예요 그러나 드레그를 하고 GPS를보시면 진행중으로 나와서 편리한데 아시는분들이 별로 없을꺼같아서 언급해봅니다..
휴..; 힘들오......;;

암튼 여러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해서 적어봤는데 다 아는내용이라고 혀를 찰분들도 계시겠지만 아니나비를 사신지 얼마 안되신 초보분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리라믿고 저는 이만 줄일까합니다..

'네비 & P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A자동 동기화 막기  (0) 2009.01.18
주요 PDA PROGRAM  (0) 2006.04.20
바닥(badak)사용법  (0) 2006.04.13
Posted by bakgga :

주요 PDA PROGRAM

2006. 4. 20. 18:59 from 네비 & PDA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
● Cash Organizer 2004 가계부용 프로그램...
PDA의 장점인 항상 지니고 다니기 때문에.. 내가 얼마를 썼는지, 어디에 어떻게 왜~ 썼는지 리포트 작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주~ 유용하다.

● Plan Plus (내가 구입한 몇 안되는 정품 프로그램.)
지금도 쓰고있지만, 플랭클린 플래너의 컴퓨터용 판이다.
이거 하나면 스케줄 및 task 관리는 문제없다. 또한 PDA에 있는 주소록과 연동하면 언제 만났는지 왜 만났는지 등등의 주요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 e-wallet
왠만한 아이디 패스워드 및 시리얼번호, 등록번호 등의 꼭! 알고있어야 하지만, 기억하지 못하는것들을 적는데 참 요긴하다.

● Pocket Planner
플랭플러스는 엄밀히 말하면 PC용이다. PPC용도 제공되기는 하나 그 기능이 극히 미약하여, 일반 사용자가 PDA에서 사용하기는 좀 무리가 있다. 그래서 PDA에서 사용할때는 이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그래도 국내개발품이고 Today 플러그인이 있어서 사용한다. 덤으로 제공되는 알람과 날씨정보도 괜찮다.

● Spite Backup 3.0
PDA의 장점은 휴대성이지만, 단점은 분실하거나 하드리셋되어버리면, 데이타가 몽땅~ 싸그리.. 다~ 날아가 보린다는데 있다. 필자의 경우 백업을 3번씩 한다. 첫번째는 기본프로그램만 깔아서 남는 256에 넣어다닌다. 혹씨 모를 외부나 출장중에 하드리셋 되어버리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두번째는 PC로의 백업이다. 3.0부터의 마음에 드는 기능중에 하나는 크래들에 연결하면(충전을 위해서 1-2일에 한번은 크레들에 올리니까) 하루에 한번찍 Full Backup을 PC로 해준다는것이다. 메모리 용량도 늘릴 수 있고, PC에 저장하니까 안전해서 마음이 편하다. 세번째는 내장해서 가지고 다니는 512SD에 저장하는것. PDA 사용자에게 백업은 필수다.. 필수! 백업은 아무리 강조해도 절대로 지나치지 않습니다.

● DockWare Pro
PDA를 크래들에 올려놓으면,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시나요? 그냥 멍청하게~ 투데이 화면만 띄워놓는건 아닌지... 크레들에 연결되고 일정시간이 흐르면 사용자가 지정한 그림들이 슬라이드쇼로 보여지는 프로그램. 필자는 갖고사진 및 가지고 싶은것들을 넣어서다닌다, 일명 드림북이라고도 한다.

● Handstory
상당히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각종 신문, 뉴스 동우회 게시판등을 클리핑해서(PDA에 저장해서) 다닐 수 있다. 말이 필요없는 프로그램.

● isilo
Handstory와 유사한 외국 프로그램.

● Betaplayer
영화 및 동영상 볼때 사용됨. 쓸만함(사실 쓸만한 동영상플레이어가 없는데, 이게 그나마 젤 좋음)

● Wisbar
개인 취향이긴 한데, 상단에 타이틀 바를 변경할 수 있다.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정지시킬수도 있고, 실행프로그램간 이동도 가능하다. 외부 스킨을 적용하면 온갖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 Pocket Subway
지하철 노선 프로그램.

● PocketWiNo
무선랜 감지 프로그램. 좋음.

● Resco Explore Pack
기본으로 제공되는 파일 탐색기는 기능이 좀 미약하다. 기능도 별로 없고. 하지만 요놈은 제법 쓸만하다. 덤으로 제공되는 레지스트리 에디터역씨 마음에 든다. 괜찮음.

● TV-Remote
리모콘 프로그램, 젤 좋은건 노래방가서 시간 추가할때. 리모컨 안보일때 쓰면 무척~ 유용하다.. ^^

● 사전(E4u dic or AnyDic)
필자가 알고있는 사전프로그램은 이 두개가 전부다.
E4u dic은 시사영어사에서 만들었다고하는데, 좀 느리고 인터페이스가 불편하다. 반면 anydic은 사용자 편의 위주의 인터페이스로 편리한 조작이 가능하다. 필자는 anydic 사용중임.

● 어휘마법사
영어공부하는데 막강인 프로그램, 특히 단어공부하는데 막강임.
몇 안되는 정품 구입한 프로그램... 사용자 지원이 좀 맘에 안들긴? 부족하긴 한데, 조금만 더 수정되면 아주 좋은 프로그램이 될듯한 느낌.

● 암기왕
사용자가 지정한 데이터를 암기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자주는 안쓴다.)

● withMP3
비주얼하고 winamp와 비슷한 인터페이스가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필자는 별도의 mp3가 있어서 자주 활용은 하지 않지만, 외부에서 스피커로 mp3재생할때는 이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특히 음악들으며 샤워할때... 좋다. ^^

'네비 & P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A자동 동기화 막기  (0) 2009.01.18
아이나비 활용법  (1) 2007.11.14
바닥(badak)사용법  (0) 2006.04.13
Posted by bakgga :

바닥(badak)사용법

2006. 4. 13. 03:33 from 네비 & PDA
바닥 : 초보자도 10분만 배우면 되는 제일쉬운 동영상 인코딩
간단 소개
바닥은 MENCODER 의 프론트엔드로, 여러가지 동영상 파일을 간편하게 AVI 파일로 바꿔주는 프로그램이다.
사용 용도
  • PC용 동영상을 PDA 에서 재생하고자 할때
  • 고화질 동영상을 작은 크기의 저화질 동영상으로 변환하고 싶을때
  • SMI,SRT 자막을 동영상에 입히고 싶을때 사용
  • 인덱스가 손상된 AVI 파일의 인덱스 복구용
  • PMP 나 DIVX 플레이어에서 지원 못하는 포맷을 지원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고자 할때
  • WMV 나 ASF 로 인코딩된 교육/강좌 동영상을 AVI 파일로 바꾸고자 할때 (조금 문제가 있음)
  • MOV 나 RM 파일을 AVI 로 변환하고자 할때 ( 아래 코덱모음 설치 필요 )

파일 받아가기
설치파일
- badak20051231.exe(4218KB) : mencoder + 바닥 ( 최신 버전에 버그가 있을 경우 badak20050618.exe(3863KB) 를 설치할것 )
- mencoder-codecs.exe(7249KB) : mencoder 용 코덱모음. 바닥 설치후 설치한다. rm/wmv9/vp6/mov 와 같은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못하는 파일을 인코딩할때 필요하다. 시스템을 전혀! 건드리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이건 설치 안해도 된다.
샘플 파일
- sample.zip(3356KB) : 동영상 인코딩 옵션을 테스트 해보고 싶어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샘플 동영상이다. 파일의 크기가 작으므로 테스트할때 편리하다.
구버전
- badak20050917.exe(4251KB) badak20050910.exe(4247KB) badak20050618.exe(3863KB)
- badak20050424.exe(3862KB) badak20050403.exe(3543KB) badak20050322.exe(3547KB)
- badak20050313.exe(3543KB) badak20050217.exe(3530KB) badak20050215.exe(3531KB)
- badak20050212.exe(3625KB) badak20050131.exe(3500KB) badak20050123.exe(3167KB)
- badak20050108.exe(3602KB) badak20041218.exe(3538KB) badak20041212.exe(3408KB)
- badak20041204.exe(3404KB) badak20041128.exe(3397KB) badak20041122.exe(3366KB)
- badak20041121.exe(4146KB) badak20041120.exe(4272KB) badak20041114.zip(1696KB)
- badak20041110.zip(128KB) mencoder1.3.3.7.exe(8306KB)
설치방법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시키면 지정한 폴더에 압축이 풀린다.
레지스트리를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지울때는 설치폴더를 그냥 지우기만 하면 된다.
동영상 인코딩 하기
실행
BADAK.EXE 를 실행시킨다.
인코딩 하기
  • 작업할 파일을 추가한다. 이때 자막파일(.smi) 이름이 동영상 파일과 이름이 같으면 자동으로 동영상에 자막이 입혀진다. ( 예: test.avi & test.smi )
  • 결과물이 나올 폴더를 지정한다.
  • "작업 시작" 버튼을 누르면 작업이 시작된다.
  • 끝날때까지 기다린다.
  • 인코딩이 제대로 안되었다면 아래 "문제해결" 항목을 참고하자!!

동영상 인코딩 환경설정
알면 건드리고 모르면 그냥 놔둔다.
PDA 에서 동영상 재생하기
베타 플레이어 홈페이지에서 베타 플레이어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후 PDA에 동영상을 복사하고 보면 된다.
문제해결
일단 문제가 생기면
1. 자신의 프로그램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고 아니면 무조건 최신 버전을 깔고
2. 환경설정에서 "초기화" 를 해본후
아래 사항을 확인해 본다.

작업을 시작하면 바로 끝나버린다.
MENCODER 에서 지원 안하는 파일이거나, 파일이 손상되어서 변환이 불가능한 경우이다.
일부 RM, MOV 와 같은 파일은 위에 있는 파일받기 링크의 코덱팩을 설치하면 인코딩이 될수도 있다.
위에 있는 코덱팩을 깔아도 안되면, 다른 코덱팩은 깔던 말던 해결이 안되므로 게시판에 질문하지 말고 그냥 포기하자.
인코딩을 잘 하다가 중간에 멈추어 버린다.
파일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파일이 중간에 손상된 경우에 이런일이 종종 일어난다.
이것 역시 해결이 불가능 하므로 맘편하게 포기한다.
소리가 너무 작다.
원본 파일이 AC3인경우 소리가 너무 작은 경우가 종종 있다. 환경설정에서 소리 증폭에 적당한 값을 줘서 소리를 키우면 해결된다.
인코딩된 동영상의 파일크기가 너무 크다.
인코딩 환경설정에서 비트레이트를 줄이면 화질/음질이 떨어지면서 파일의 크기도 줄어든다.
인코딩된 동영상의 화질이 너무 나쁘다.
인코딩 환경설정에서 비트레이트를 높이면 화질/음질을 높일수 있지만 파일의 크기도 커진다. 하지만 원본이 나쁘면 다 헛수고..
2PASS 인코딩이 뭔가?
동영상 파일을 두번 스캐닝해서 좀더 효율적으로 비트레이트를 분배하는 인코딩 방식이다. 시간은 두배로 걸리지만, 노력한것에 비하면 그다지 화질이 많이 좋아지는것 같지는 않다.
버추얼 덥에 비해서 프로그램 기능이 맘에 안든다.
그냥 버추얼 덥을 쓰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mencoder 의 "껍데기" 이기 때문에 인코딩 관련 기능 추가 요청해도 못 고친다.
인코딩 중간에 멈추면 인코딩 하다만 파일이 재생이 안된다. / 인코딩 결과를 확인하는데 너무 오래걸린다.
- 인코딩 시작을 누르면 설치폴더에 convert.bat 파일이 생긴다. 인코딩을 중지한 다음에 이 파일을 실행시키고 인코딩 중간에 ctrl+c 를 누르면 인코딩 하다만 때까지의 동영상파일을 재생해 볼 수 있다. 인코딩 옵션을 확인할때 유용하다.
- 인코딩 테스트 버튼을 누르면 파일의 앞부분만 인코딩해볼 수 있다.
인코딩한 동영상을 재생하면 화면하고 소리가 어긋난다.
1. PDA 사용자라면 꼭 TCPMP(舊 베타 플레이어) 를 설치하고 동영상을 보기 바란다.
2. 다른 기기를 쓰는 사용자라면 환경설정의 "소리" 탭에서 "VBR 설정" 을 "CBR" 로 설정한다.
( VBR은 CBR보다 용량대비 음질이 좀더 좋은 방식이다. 하지만 일부 재생기에서는 제대로 지원을 못하는 문제가 있는 듯하다. )
인코딩중에 다른 작업을 하면 문제가 있나?
없다. 인코딩 시간이 좀더 오래 걸릴 뿐이다.
OpenDivx 과 XVID 의 차이점이 무엇인가?
Xvid는 OpenDivx 을 발전시킨 코덱이므로 효율성에서 더 좋다고들 한다. 하지만 테스트 결과 큰 차이는 없어 보인다.다만 XVid 보다는 OpenDivx 이 좀더 안정적으로 지원되므로 문제가 발생하면 OpenDivx 으로 인코딩해 보도록 한다.
화면과 소리가 조금씩 어긋난다.
WMV 강의 동영상(혹은 수능 동영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 이다. 원인은 mencoder 의 버그로 보이며 아직까지 해결 방법이 없다. PDA 동영상 인코딩를 참고해서 다른 프로그램으로 인코딩 하기 바란다.
자막이 영어랑 한글이랑 같이 섞여서 나온다?
1. 통합자막(한글, 영어 섞여 있는 자막)을 인코딩하면 자막이 한꺼번에 같이 나온다. 자막파일을 열어서 한가지 언어만 나오도록 편집해서 인코딩해야 한다.
2. 인코딩 환경설정의 추가 옵션 부분에 자막 관련 옵션을 추가한다. 자막의 클래스를 확인해서
-slang ko-KR,kr-KR
과 같이 자막의 클래스(class)를 연속으로 적어주면 넣어주면 한/영 통합자막중 원하는 자막만 처리할 수 있다. (자막마다 클래스명이 다를 수 있다. 자막의 클래스명은 자막 파일을 열어 보아야 한다.)
원본 동영상의 소리가 여러개 일때(2audio) 한가지 소리로만 인코딩 된다. 다른 소리로 인코딩 하려면?
-aid 2
와 같이 인코딩 추가 옵션에 추가해 주면 소리를 선택할 수 있다.
자막과 소리가 맞지 않는다.
인코딩 환경설정의 추가 옵션 부분에 싱크 관련 옵션을 추가한다. 예를 들어서 자막이 3초정도 소리보다 늦게 나온다면
-subdelay 3
와 같은 옵션을 넣어주면 된다. ( 반대의 경우는 "-subdelay -3" 이다!)
난 초보라 아무것도 모르겠다. 그냥 안된다. 다 가르쳐 달라.
남이 만든 동영상 보면 된다.
소개
이전에 PDA 동영상 인코딩 이라는 매우 쉬운척 했지만 사실은 매우 복잡한 동영상 인코딩 방법을 소개한 문서를 작성한 적이 있었다.

비록 이 방법이 virtual-dub 과 같은 전문적인 프로그램 보다는 사용방법이 쉬운 편이였지만, Mpeg4 Direct-maker 라는 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과 Direct-show 를 사용하기 때문에 오히려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코덱충돌, 별도의 코덱설치, 자막필터 설치 등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던중 베타 플레이어 홈페이지에서 PDA 용 인코딩 툴로 추천하는 PocketDivXEncoder 를 테스트해본 결과 MENCODER 를 수정해서 만들었다는것을 알아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몇가지 단점으로 제대로 쓸수가 없어서 여기에 소개하는 MENCODER 의 프론트엔드인 "바닥"을 제작하게 되었다.
( M-ENCODER 는 M-PLAYER 패키지에 포함된 인코딩 툴이다. )

일단 MENCODER 의 장/단점을 간단히 나열하자면..
  • Direct Show 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자체적으로 많은 코덱을 지원한다.
  • 인코딩 역시 별도의 코덱을 필요치 않는다.
  • "공짜" 다.
  • 커맨드 라인으로 작업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방법이 불편하다.
  • Direct Show 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간혹 동영상 재생기로 재생은 되지만 인코딩이 불가능한 동영상이 있다. (반대로 PC 에서 재생은 안되지만 인코딩되는 동영상도 있다!)
  • 비교적 다양한 압축 옵션을 제공한다.
  • 자막 처리 지원 (.smi 등등)

좌우지간 MENCODER 를 이리저리 테스트한후 만든 껍데기인 "바닥" 의 장점을 소개하자면 ..
  • 손쉬운 사용방법
  • PDA 에 최적화된 옵션 설정
  • 손쉽게 연속 인코딩 작업 가능
  • 2.35:1 과 같이 폭이 너무 긴 동영상은 적당히 잘라준다.
  • 폭이 긴 동영상은 위아래 검은 여백에 자막이 출력되도록 해준다.
과 같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좀더 복잡한 인코딩을 원한다면 Virtual-Dub 을 찾아보시길..
샘플 화면들
잘라내기 옵션
잘라내기 옵션은 원본 동영상이 너무 길어서 PDA 에서 보기 불편할때 적당히 양 옆을 잘라내어서 보기 편하게 만들어 준다.
아래 여백은 자막이 표시되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작업하기전 원본 동영상 (672x288, 2.33:1)

잘라내기 옵션 1.777 사용 (16:9)

잘라내기 옵션 1.6 사용 (기본, 16:10)

잘라내기 옵션 1.333 사용 (4:3=16:12)

2PASS 인코딩
2pass 인코딩은 시간은 두배가 걸리지만 동영상 결과물의 화질에 약간의 이득이 있다. (파일의 크기는 동일하다.)

1PASS 인코딩(기본)

2PASS 인코딩

자막 크기
자막 크기는 3~5 정도가 적당하다. 모니터에서 보는것과 PDA에서 보는건 좀 다르므로 너무 작지 않도록 설정하는것이 좋다.
자막 크기 3

자막 크기 4(기본)

자막 크기 5

가로 동영상과 세로 동영상
동영상을 320x240 으로 인코딩하면 가로보기에 적당하고, 240x180 크기로 인코딩하면 세로보기에 적당하게 된다. 세로보기로 인코딩하면 어학용으로 좀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가로보기 : 320x240

세로보기 : 240x180

화면 비율 옵션

영상확장 옵션을 쓰면 원본의 픽셀 비율을 바꾸지 않고, 화면에 맞게 위 아래에 검은 여백을 추가한다. 검은 여백에는 자막이 표시될 수 있으므로 자막을 입힌 동영상을 만들 때에는 이 옵션을 켜주면 좋다. (기본)

꽉찬 화면은 위아래 검은 여백이 싫을 경우 사용한다. 원본 이미지에 따라서 위/아래로 길게 나올 수 있다.

모든 옵션을 끄면 원본과 같은 비율로 동영상이 만들어 진다.

관련 페이지
MPLAYER/MENCODER 관련 홈페이지
- MPLAYER 홈페이지 : http://www.mplayerhq.hu/
- MPLAYER CYGWIN 버전 홈페이지 : http://armory.nicewarrior.org/projects/cygmp/
MPLAYER 컴파일 방법
- MPLAYER/MENCODER를 MinGW로 컴파일 하기 : http://www.kipple.pe.kr/doc/mplayer/
문서 수정 기록
- 2004/11/07 최초 작성
- 2004/11/08 버그수정, 기능추가
- 2004/11/09 버그수정
- 2004/11/10 버그수정
- 2004/11/14 xvid 인코딩 문제를 다른버전으로 재인코딩하는 방식으로 대충 해결.
- 2004/11/20 거의 모든 문제 해결된듯.
. cygwin 으로 컴파일한 최신 버전 mplayer 사용 (p4 전용 mencoder 추가, xvid 인코딩 문제 없음, 경로명의 한글 문제 없음)
. 폰트 설정 가능
. 와이드 화면 설정 가능
. 2pass 옵션 추가
. 인코딩 완료후 컴퓨터 끄기 옵션 추가
- 2004/11/21 오디오를 mp3lame 으로 교체, mpg 변환 안되던 문제 수정
- 2004/11/22 속도향상 없는 P4 전용옵션 제거, 볼륨증폭 옵션 안먹던 버그 수정, 자막옵션 적용안되던 버그 수정, LAME 인코딩 옵션 수정으로 속도 향상, 등등..
- 2004/11/25 문서수정(프로그램 업데이트 없음)
- 2004/11/28 파워유저는 옵션을 직접 편집 가능하도록 외부로 뽑아냄(badak.ini)
- 2004/12/04 샘플레이트 옵션등 이것저것 옵션 추가
- 2004/12/08 문서수정(프로그램 업데이트 없음)
- 2004/12/12 옵션 추가, 코덱팩 추가
- 2004/12/18 xvid 옵션추가, 종료후 알림메시지,진행률 표시 등등.. (어찌된건지 xvid 가 divx4 보다 더 안좋은것 같음... 누구 테스트 해보고 결과좀 알려주셈.)
- 2005/01/08 EBS 수능 동영상(wmav2), OGM 파일 인코딩 가능
- 2005/01/23 dubble이 방법을 알려줘서, mencoder.exe를 종전 cygwin대신 mingw로 컴파일(추가적인 향상이 있을지 버그가 발생할지 모르겠음). 한+영 통합자막 파일일 경우 한꺼번에 출력되도록 수정. 기타 별다른 개선 없음.
- 2005/01/31 mencoder를 MingW에서 다시 cygwin으로 컴파일한 버전으로 바꿈
- 2005/02/12 환경설정 정리. 미리설정 열기 추가. 다국어 버전 준비. 아마도 버그 많을듯.
- 2005/02/15 자막설정안되던 버그수정, xvid 2pass 인코딩 안되던 버그 수정. H264 는 2PASS 인코딩 안됨. 아직도 버그 많음.
- 2005/02/17 ffwma2 관련 수정
- 2005/03/12 (엉터리)영문 지원. 인코딩테스트 버튼추가. 버그수정. ※ 영문 번역 도와주실분 찾습니다.
- 2005/03/13 황당 버그 수정
- 2005/03/22 Div3, WMV1, WMV2 옵션 추가. 추가 옵션 기능 추가. dubble 패치 적용. 파일 예상 사이즈가 좀더 정확해짐
- 2005/04/03 몇가지 간단한 수정
- 2005/04/24 파일명에 % 들어가면 인코딩 안되던 버그 수정. mencoder 를 최신버전(MPlayer-1.0pre7) 로 업데이트. 중복실행시 경고 메시지 출력. 일반설정 옵션 추가.
- 2005/06/18 와이드 화면으로 인코딩할때 폭맞춤이 되어서 높이가 높아지던 문제 수정. 이제는 와이드 화면이면 폭대신 높이로 크기를 맞춤.
- 2005/09/10 mencoder 20050909cvs 버전, 코덱모음 20050412 버전, srt 자막 지원추가, 코드페이지문제수정, 중국어지원
- 2005/09/17 iriver u10, h320/h340 용 미리설정(preset) 추가
- 2005/12/31 mencoder 20051231cvs 버전, 중국어 번역 수정(???,wuguole@hotmail), 프리셋 저장방식 약간 변경(아마도), 기타 mencoder 최신 버전의 버그 다수 발견..
바닥 소스
http://www.kipple.pe.kr/forum/viewforum.php?id=3
저작권 정보
설명문서
- 당신이 보고계시는 이 설명 페이지는 출처(http://www.kipple.pe.kr)를 명시할 경우 어떤 곳이던지 자유로이 퍼갈 수 있습니다. 다만 이 페이지에 링크된 파일을 다른 홈페이지에 직접 링크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퍼가실려면 프로그램과 이미지도 같이 퍼가시기 바랍니다. 어차피 이 페이지에 있는 이미지는 무단 링크 방지가 되어 있습니다.)
- 물론, 설명 문서를 직접 만드실 경우에는 위 조건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프로그램
- 맘대로 쓰고 문제발생하면 알아서 책임지세요.

'네비 & P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A자동 동기화 막기  (0) 2009.01.18
아이나비 활용법  (1) 2007.11.14
주요 PDA PROGRAM  (0) 2006.04.20
Posted by bakgga :